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Unknown runtime specified nvidia.





sudo pkill -SIGHUP dockerd

sudo docker run --privileged --runtime=nvidia -p 8080:8080 -p 8088:8088 -p 9191:9191 -p 9292:9292 -v /home/dkadmin/gpudb/persist:/opt/gpudb/persist kinetica/kinetica-cuda91:latest



요렇게 하면 된다


kubectl get pods --namespace=kube-system


kubectl describe pods --namespace=kube-system


kubernetes-dashboard 관련 이미지 error시 확인을 해보면 

minikube가 가지고 있는 dashboard이미지는 1.6.x 버젼이지만
실제 pull을 하는 이미지는 1.7.0 이므로

minikube vm이 시작할때 login하여 
tar.gz 로 만들어진 1.7.0 이미지를 minikube에 로딩하여야한다

이후 minikube 가 실행되면서 docker image 1.7.0을 pull하여 실행이 된다

#kubectl proxy

$kubectl create -f mysql-deplyoment.yaml

에러가 서버에 연결할수 없다는 등에 에러가 나온다면

현재 설치된 minikube start  --kubernetes-version="v1.6.4"  --insecure-registry="dockertest2.io:12000"  요렇게 

1.6.4인데 kubectl 이 아마도 1.10일것이다.. 버젼에 맞게 다운받아야 한다

$ curl -O https://storage.googleapis.com/kubernetes-release/release/v1.6.4/bin/linux/amd64/kubectl


[root@hadoopm KUBE]# kubectl create -f mysql-deployment.yaml

service "wordpress-mysql" created

Error from server (BadRequest): error when creating "mysql-deployment.yaml": Deployment in version "v1beta2" cannot be handled as a Deployment: no kind "Deployment" is registered for version "apps/v1beta2"



해당 부분은 버젼 호환(낮아서) 되지 않아 생긴 문제로 

yaml 파일의 apps/v1beta2 이 부분을  apps/v1beta1 으로 변경 하고 하면 된다.



skipping unreadable repository '/etc/yum.repos.d/CentOS-Vault.repo'

Skipping unreadable repository '/etc/yum.repos.d/CentOS-fasttrack.repo'

Loading mirror speeds from cached hostfile

Resolving Dependencies

--> Running transaction check

---> Package openssl.x86_64 1:1.0.2k-8.el7 will be installed

--> Processing Dependency: make for package: 1:openssl-1.0.2k-8.el7.x86_64

--> Running transaction check

---> Package make.x86_64 1:3.82-23.el7 will be installed



[Errno 12] Cannot allocate memory: '//var/lib/yum/rpmdb-indexes/version.tmp'




# yum clean all
# rm -f /var/lib/rpm/__db*
# rpm --rebuilddb

download repo
and repolist
reposync --repoid=dockerrepo-2 --dlownload_path=/data/RESOURCE/YUMREPO-SOURCE/TEST
tar cf
and then
createrepo DOCKERREPO2


'나는 노동자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xfs volume extend  (0) 2020.07.10
Log Rate Limitimg in Linux  (0) 2018.09.17
linux http_proxy 설정하기 (웹사용을 위해)  (0) 2018.04.19
CentOS 커널 업그레이드 다운그레이드  (0) 2018.04.19
HANA WEB LOGIN  (0) 2018.02.13

설치를 하기전에 바이오스에

VT-x or AMD-v virtualization must be enabled in your computer’s BIOS.

그리고 

VirturlBox다운로드 경로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_Old_Builds_5_1

다운로드 후 실행


https://storage.googleapis.com/kubernetes-release/release/v1.10.0/bin/windows/amd64/kubectl.exe

다운받아서 SYSTEM PATH에 경로는 적어준다.


[내컴퓨터] -[속성] - 설정변경 - 고급탭- 환경변수 - 시스템 변수 항목에서 Path라는것을 선택하고 편집 kubectl.exe경로를 넣어줌

세미콜론(;)이 구분자임



https://github.com/kubernetes/minikube/releases 

다운로드  minikube-installer.exe


cmd창에서

>minikube version


> mini kube start --vm-driver=hyperv --hyperv-virtual-switch="external"
  --kubernetes-version="v1.8.0" --memory=4096


이케하면 cluster를 다운로드함


아니면  minikube start --cpus 4 --memory 2048  이런식으로 해도 됨..


요케하며  VirtualBox관리자에 minikube라는 vm이 만들어지며 자동 실행되게 된다

가상(관리화면)머신을 선택하면 vm으로 넣어가며 minikube login: 이 라고 나온다.. root를 치면 암호를 묻지 않고 들어간다


윈도우화면에서(cmd)  minikube status   - 상태확인

minikube stop/start


minikube dashboard  이렇게하면   http://xx.xx.xx.xx:30000/#!/overview?namespace=default 라는 웹 브라우져가 뜸


명령어설명
minikube addons미니큐브의 쿠버네티스 애드온 변경
minikube cache로컬 캐시에서 이미지 추가/삭제
minikube completionOutputs minikube shell completion for the given shell (bash or zsh)
minikube config미니큐브 설정 변경
minikube dashboardOpens/displays the kubernetes dashboard URL for your local cluster
minikube delete로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삭제
minikube docker-env도커 환경변수 설정하기. $(docker-machine env)와 유사함
minikube get-k8s-versions로컬큐브 부트스트래퍼를 사용할 때 미니큐브에 사용가능한 쿠버네티스 버전 목록 조회
minikube ip실행중인 클러스터의 IP 주소 조회
minikube logs실해중인 로컬큐브 인스턴스의 로그 조회. (사용자 코드가 아니라) 미니큐브 디버깅에 사용
minikube mount미니큐브에 특정 디렉토리 마운트
minikube profileProfile sets the current minikube profile
minikube serviceGets the kubernetes URL(s) for the specified service in your local cluster
minikube sshLog into or run a command on a machine with SSH; similar to 'docker-machine ssh'
minikube ssh-keyRetrieve the ssh identity key path of the specified cluster
minikube startStarts a local kubernetes cluster
minikube statusGets the status of a local kubernetes cluster
minikube stopStops a running local kubernetes cluster
minikube update-check현재 및 최신버전 출력
minikube update-contextVerify the IP address of the running cluster in kubeconfig.
minikube version미니큐브 버전 출력


'나는 노동자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uster upgrade process  (0) 2019.05.22
OS Upgrade drain cordon uncordon  (0) 2019.05.22
configmap,secret in pod  (0) 2019.05.21
kubernetes add nodes  (0) 2019.04.22
Service - NodePort  (0) 2018.08.02

우선, 설정값을 확인한다.

[]# echo $http_proxy


만약 아무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프록시 서버의 URI를 설정한다.

[]# export  http_proxy='http://proxy:8080'



만일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export  http_proxy='http://username:password@proxy:8080' 



설정 유지를 위하여 아래 파일중 하나에 추가해 두는것도 잊지 말자.

/etc/environment
~/.bashrc
~/.profile 


프록시 변수 값 초기화는 


# unset http_proxy


요렇게 하면 초기화됩니다 


'나는 노동자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g Rate Limitimg in Linux  (0) 2018.09.17
repo_download and sync  (0) 2018.04.26
CentOS 커널 업그레이드 다운그레이드  (0) 2018.04.19
HANA WEB LOGIN  (0) 2018.02.13
HANA DB START/STOP  (0) 2018.02.12

커널업그레이드를 하기전에 

dhclient 업그레이드를 먼제 해주도록 할께요

dhclient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고 커널업그레이드를 할시 인터넷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yum list dhclient

#yum instasll dhclient   <-- 업그레이드 가능한 dhclient설치


이제 커널 차례~


#uname -r  <--커널 버젼 확인

# uname -a   <-- 호스트 네임, 커널 버젼 등 확인

#yum list kernel


설치된 커널과 업데이트 가능한 커널이 나옴

Installed Packages

~~~~~~~~~~~~~~~~~~~~~~~~~~

Avaliable Packages

커널 이름                       updates


#yum install kernel   <-- 업그레이드 가능한 커널 설치


완료후 재부팅은 필수


## 다운그레이드 방법 #########

grub.conf를 통한 방법


#vi /etc/grub.conf


default = 0


hiddenmenu

## 바로 하단것이 업그레이드 후 버젼, 0 ###

title CentOS (2.6.32-358~)

   root (hd0,0) 

    kerrnel /vmliuz-2.6.32.358 ~


## 아래 것이 엡그레이드 이전 버전, 1 ####

title CentOS (2.6.32-220~)

  root (hd0,0)

   kernel/vmliuz-2.6.32-220~


해당 파일에서 default 값이 현재 0 업그레이드된 버젼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원복하기 위해서는 default값을 1로 변경해주면 된다


이후  리부팅 .. 리부팅후에는 커널 버젼 확인하세요 

'나는 노동자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po_download and sync  (0) 2018.04.26
linux http_proxy 설정하기 (웹사용을 위해)  (0) 2018.04.19
HANA WEB LOGIN  (0) 2018.02.13
HANA DB START/STOP  (0) 2018.02.12
RHEL7.X NFS MOUNT  (0) 2018.01.18

Grafana 컨테이너 RUN시  /etc/grafana/grafana.ini  파일을 host쪽에 미리 mount  시킨다




해당 경로 파일의 내용중 


############# Anonymous Auth############## 이 부분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면ㄷ 된다



#################################### Anonymous Auth ##########################

[auth.anonymous]

enabled = true

org_name = anonymousorg

# enable anonymous access

enabled = false


# specify organization name that should be used for unauthenticated users

org_name = Main Org.


# specify role for unauthenticated users

org_role = Viewer





'나는 노동자 > ECO 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prometheus install  (0) 2018.08.10
프로메테우스 데몬 api로 재시작없이 reload하기  (0) 2018.07.13
NEXUS 3.7.X SSL 설정  (0) 2018.03.29
NEXUS 3.X 암호 초기화 하기  (0) 2018.03.28

git hub를 사용하여 push를 하고자 할때 다음과 같은 에러메세지가 발새한 적 있음.


git push -u origin master


error: src refspec master does not match any.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URL'



이를 repository에 commits한 내용이 없기 때문에 server에 추가할 branch 또한 존재하지 않아 발생한 에러다

즉 repository가 비어 있음을 이야기한다


따라서 repository에 처음 commit할 내용을 만들면 문제가 해결된다


touch initial

git add initial


git commit -m initial commit"


git push -u origin master


'나는 노동자 > 이런저런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docker.sock permission denied  (0) 2019.12.06
minikibe dashboard error  (0) 2019.12.04
git fatal: unable to access  (0) 2019.04.18
kubernetes cronjob delete  (0) 2019.04.03
kubectl alias k  (0) 2018.10.02

+ Recent posts